UCPC 2022에 사용했던 팀노트를 첨부한다. 기본적으로 예전 더불어민규당 팀노트를 기반으로 만들었는데, 당시랑 내가 지금 사용하는 코드베이스가 많이 달라서 내용은 꽤 많이 다른 것 같다. 당시에는 landscape 2-side로 만들어도 25장이 다 안 차서, 여백을 두더라도 가독성을 높이는 식으로 팀노트를 만들었는데. 이번에 저렇게 만드니까 50장이 넘게 나와서 도저히 진행할 수가 없었고, portrait / 2-side / 7pt 로 엄청나게 압축해서 넣었다. 2시간 정도 안에 급하게 만든 거라 여백 등등에서 부족한 점이 많으니, 실제 팀노트 구성 시에는 수정이 필요할 수 있다.

상위권 팀에 대해서 아는 정도만 적으면 초비상!!: koosaga, tlwpdus, khsoo01 우리가 우승할 수 있을 리 없잖아, 무리무리!: UCPC 2021 디펜딩 챔피언, 2020/2021 서울 리저널 챔피언 FSM (서울대, WF 규정에 따라서 올해 리저널 출전 가능할 수 있음) BabyPenguin: 2021 서울 리저널 BabyPenguin (KAIST, 올해 리저널 출전 가능) 🐟🐚🦂: cubelover, alex9801, kajebiii UCPC의 최신 동향: arnold518, karuna, blackking26 (서울대, 올해 리저널 출전 가능) DM 확인 부탁드립니다! 🙏: 2019/2020 서울 리저널 Ternion aHR0cDovL2Vyci5vLXIua3Iv: Lawali, l..

PA 2012. Mecze 두 선수가 경쟁하지 않았다는 것은, 두 선수가 항상 같은 팀에 있었다는 것과 동치입니다. 고로 각 선수가 무슨 팀에 있었는지를 크기 M 의 배열에 저장하고, 배열들을 정렬한 후 중복 원소가 있는지를 체크하면 됩니다. 배열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배열간 비교가 가능한 vector 같은 자료형을 쓰거나 M \le 50 이니 배열 대신 long long 자료형에 비트마스크로 저장하거나 등등의 방법이 있습니다. Petrozavodsk Winter 2022 Day 1 - Kyoto U Contest. Build The Grid 사진으로 대체합니다: 이러한 구성을 찾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저의 경우에는 그냥 백트래킹을 돌려서 조건을 만족하는 그리드를 찍어보고, 규칙을 찾았습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