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actice_ptzbf 1월 22일 연습 오후: ARC 064 CDEF ainta (guest)36:3549:3343:4434:33tncks01212:4823:389:2359:19koosaga3:3097:5631:58- 실제 연습 환경에서 한 게 아니라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다. (아인타는 약간 늦게 합류했고,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고, 등등..)하지만 내가 문제를 못 푼 건 그래서가 아니었다. 일단 D의 풀이를 보는데 한 30분 정도를 사용했고, F를 보고 풀 수 있다고 생각하고 너무 과도하게 달려들었던 것도 참패 요인이다. F는 내가 보통 거르고 보는 약수 포배 유형이다. 풀이를 들었는데 웬만큼 잘 생각하지 않았으면 못 풀었을 문제인 것 같다. 그런데 그런 유형인지를 모르고 E를 푼 이후..
관련 내용이 이 블로그에도 매우 잘 나와 있으니 같이 보면 좋을듯. 이 글에서는 LP에 대한 정의를 안다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, 정의를 모른다면 링크한 블로그를 참고해야 한다. 직관 다음과 같은 LP 문제를 생각해 보자. $\text{Maximize: } 4x + 4y$ $\text{Subject to: } x + y \leq 3,x, y \geq 0 $ 이 문제의 답은 굉장히 자명하다. $(x+y) \leq 3$ 이라는 조건이 있으니, $4(x+y) \leq 12$ 를 만족한다. 그 외에 다른 제약 조건은 $x, y \ge 0$ 뿐이니 답은 간단히 12로 결정된다. 이를 조금 더 어려운 예시로 바꿔보자. $\text{Maximize: } 4x + y $ $\text{Subject to: } x+y \..
1월 1일 심야: Petrozavodsk Winter 2018. ITMO Contest 좋은 셋이냐 하면 그건 잘 모르겠는데... 확실히 배울 건 많은 셋이었다. 그래도 이번 신년 연습 중에서는 이게 그나마 제일 정상이었던 거 같다 (...) A는 적분 식을 찾았으나 너무 복잡해서 포기했다. 하지만 그 복잡한 적분을 노가다하는게 정해였다고 한다(...) 우웩 F는 connection 정보를 관리하는 DP를 짜면, 가능한 연결 상태가 약 3000개 ~ 4000개 정도이다. 이걸 directed graph로 모델링하면, 결국 여기서 거리가 $K$ 인 walk를 찾는 문제가 된다. 이는 Berlekamp-Massey를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다. 곧 블로그에 글을 쓸 지도 모름. H는 directed mst라고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