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MP3 Songs아무 생각 없이 아스키 순으로 정렬하면 나옴. 앞으로는 셋에 이런 문제를 넣지 않겠습니다. 2. Reconstruction Trees올바른 입력임을 가정할 때 preorder와 inorder가 주어지면 유일하게 트리를 결정할 수 있다. preorder의 맨 앞에 있는 원소가 루트이고, inorder에서 이 루트를 찾으면, 왼쪽 서브트리와 오른쪽 서브트리를 찾을 수 있다. 우리는 여기서 루트와, 왼쪽 서브트리의 preorder / inorder, 오른쪽 서브트리의 preorder / inorder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재귀적으로 전체 트리 모형을 유추할 수 있다. 이 트리를 postorder traversal하면 된다. 여담으로 트리를 만든다는 식으로 서술했지만 실제로는 찾아가면서 ..
다음과 같은 문제를 생각해 보자.크기 N의 수열이 있을 때, 길이 K 이상인 구간 중 최대 평균을 계산하라. 식을 전개해 보자. 주어진 입력의 부분합을 Si 라고 하면, j - i >= K 일 때 (Sj - Si) / (j - i) 를 최대화해야 한다. 하지만 그렇게 쉬워 보이지 않는다. 어떻게 해야 할까?1. 답에 대한 이진 탐색어떠한 문제의 가능한 최대 / 최솟값을 계산하기 위해서, 문제를 결정 문제로 바꿔서 이진 탐색을 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. 예를 들면, "가능한 답 중 최댓값을 계산하라" 는 문제를, "X 이상이 이 문제에서 가능한 답인지를 판단하라"는 문제로 바꾸면, 가능한 답 중 최대인 X를 이진 탐색으로 판별할 수 있다. 만약에 최댓값을 계산하는 것은 어렵지만, X 이상이 가능한 답인..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8128증명에 증명을 더해가면서 시간 복잡도를 줄이는 스타일의 그리디였는데 재밌었다. 일단 먼저 N^2 알고리즘을 목표로 시작해보자. 가장 많은 역을 덮는 지하철 노선의 집합을 최적 집합이라고 한다. Lemma 1. 최적 집합의 모든 끝점을 리프로 변형시킬 수 있다.증명 : 그렇지 않은 최적 집합이 존재한다면 이를 두고 생각해 보자. 만약에 현재 끝점이 리프가 아니면, degree가 2 이상이라 빠져나갈 구멍이 하나 존재한다. 이 구멍으로 경로의 길이를 증가시켜나가면 답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한쪽을 리프로 만들어 줄 수 있다. Lemma 2. 최적 집합에 덮인 지하철역이 서브트리를 이루게 변형시킬 수 있다. (이 때 서브트리는 subgraph로써의..
ICPC 월드 파이널 2017 주간이 다가와서 최근 옛날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있다. World Finals 2008도 opencup 팀연습으로 돌았었는데, 문제가 좋다는 느낌은 안 들었다. 특히 어려운 문제들이 찍어 맞춰라 / 단순 코딩 지옥이라 불만족스러웠음.이번 ICPC에서 한국 팀들의 성적이 그 전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우수하다. 어느 정도 훌륭할 것이라고 예상은 했지만 이 정도일 것이라고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을 것이다. 팀원들이 대부분 젊은데, 앞으로도 많은 활약을 기대해 본다. 2011 G. Magic Sticks일단 모든 막대기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. 넓이를 최대화하려면 모든 정점을 원 위에 뿌려주는 것이 최선이다. 직관적으로 그럴듯 해 보이긴 하는데 증명은 음.. 암튼..
(Stankonia, 2000)
https://www.slideshare.net/ssuser81b91b/ahocorasick-algorithm 문자열 S와 여러 개의 문자열 T가 주어졌을 때, T에 있는 문자열 중 하나와 S가 매칭이 되는 지를 계산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. 선형 시간에 작동한다.Aho Corasick Algorithm을 알기 위해서는 KMP 알고리즘과 트라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 KMP 알고리즘에 대한 koosaga.com의 설명 아호 코라식 알고리즘을 한 문장으로 설명하면, KMP에서 사용하는 Failure function을 트라이에 확장시키는 것. 딱 이것으로 끝난다. 스텝도 비슷하다. * 1. 트라이가 주어졌을 때 트라이에서 Failure function (Failure link나 Suffix link라고도..
문자열 S와 T가 주어졌을 때, S의 부분 문자열 중 T가 몇번 등장하는 지를 찾는 문제를 생각해보자. 예를 들어 "koosaga" 에서 "saga" 를 찾으면 "koos" != "saga", "oosa" != "saga", "osag" != "saga", "saga" == "saga" 여서 총 한번 등장하고, "aa" 를 찾으면 "ko" != "aa", "oo" != "aa", "os" != "aa", "sa" != "aa", "ag" != "aa", "ga" != "aa" 여서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. N = (S의 길이), M = (T의 길이) 라 하자. S[i, j] = (i번째 문자에서 j-1번째 문자까지를 포함하는 부분 문자열) 이라고 하자. 예를 들어 "koosaga"[0, 3] = "k..
http://agc013.contest.atcoder.jp/ A. Sorted Arrays단순 구현인데 코딩이 의외로 쉽지 않았다. B. Hamiltonish Path신기한 문제. path 어디에나 붙여도 되는 줄 알고 진짜 해밀턴 경로 문젠줄 알아서 좀 해멨다. 그런 경로를 아무거나 찾으면 되는 것이니 path 끝에 붙일 수 있는 정점이 있다면 무조건 붙여보는 식으로 풀면 된다. dfs로 쉽게 구현 가능. C. Ants on a Circle부딪힐 때 서로 방향을 바꾼다고 생각하지 않고, 서로의 번호만 바꿔서 가던 길 그대로 간다고 생각하면 복잡하지 않다. 이건 워낙 유명한 유형이니까 뭐...그렇게 하면 전체 개미의 위치는 아주 쉽게 알 수 있다. 하지만 무슨 개미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는 어떻게 알까. 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